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2024 세계 에너지 전망
IEA는 ‘24.10월 세계 에너지 전망 2024(World Energy Outlook 2024)를 통해 세계 에너지 수급 현황을 분석하고 세 가지 시나리오(기존 정책, 공약 달성, 넷제로)에 기초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금번 아웃룩을 통해 IEA는 에너지 안보와, 청정 에너지 전환, 장단기 불확실성에 주목하고 있다.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며 시장 불안정 요인은 지속되고 있으나, 활발한 에너지 기술 및 연료간 경쟁으로 시장은 단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에너지 효율 향상, 전기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요 증가는 둔화될 전망이며, 2035년까지의 에너지 수요 증가분은 재생, 원자력 등 청정 에너지로 충당 가능하고, 동시에 화석연료 수요는 2030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기화 현상이 지속되며 전력수요는 전체 에너지 수요보다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청정 에너지는 전례없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나 넷제로 시나리오에는 여전히 불충분한 수준으로, 관련 투자 및 공급망 불균형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위해 아프리카 등 저개발 지역의 에너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원과 투자 확대도 중요한 과제이다.
◈ 2024 농업정책 점검 및 평가
OECD는 매년 직전 3년간의 농업 지원 내용과 주요 농업 정책 변화를 살펴보는 농업정책 점검 및 평가 보고서를 발간 중이다.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에 대한 총 지원 규모는 정점에 달하여 2021-23년 동안 연평균 8,420억 달러 수준에 이르고 있다. 8,420억 달러 중 75%인 6,290억 달러는 생산자에게, 12.5%는 농산물 소비자에게, 나머지 12.5%는 R&D 등 일반 서비스에 지원되었다. OECD는 농업이 직면한 주요 과제를 환경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도 생산성은 높이는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성 성장”에 있다고 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고하고 있다: ① 지속 가능한 생산성 성장 관련 연구, 혁신 및 교육 서비스 투자 강화, ② 이해관계자들이 농업 혁신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을 설계, ③ 명확한 목표 설정, 결과를 측정하고 정책을 조정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한 투자, ④ 시장을 왜곡하는 생산자 지원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할 필요
< 시나리오별 2050년까지의 에너지 믹스 전망 >
< 세계 농업 지원 규모(2000-2023) >
- 프랑스의 관광 정책과 제도
- 프랑스 예술 사조(2): 낭만주의에서 인상주의 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