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OECD 한국경제보고서 2024
OECD는 ‘24년 7월 11일 ‘한국경제보고서 2024(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4)’를 발간하였다. OECD는 한국 제가 일시적 성장 약화에서 벗어나 반도체 수출 개선 등에 힘입어 회복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기대는 잘 관리되고 있으나 고령화를 대비한 재정건전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한국도 국제적 추세와 같이 생산성 성장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반경쟁쟁 규제를 철폐하는 등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하였다. 한편 OECD는 특별 주제로 ‘인구감소 대응’을 다루며, 세계 최하위로 떨어진 출산율에 따른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자녀수만큼 출산할 수 있도록 공공지원이 필요하며 고령화 대응을 위해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 및 외국인력 활용도 제고 등을 권고하고 있다.
◈ OECD-FAO 농업전망 2024-2033
OECD는 2005년부터 FAO와 공동으로 국가,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 농축수산물 시장의 향후 10년 전망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OECD-FAO 농업전망을 발간 중이다. 이번 농업전망 2024-2033의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①신흥 경제국들은 지난 20년 동안 세계 농산물 시장의 발전을 이끌어왔고 앞으로 10년도 그럴 것으로 예상, ②세계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는 중국의 역할은 약화되고, 인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역할 확대, ③ 농산물 공급 증가로 세계 인구의 칼로리 섭취량은 증가하지만 2030년까지 기아 제로라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④농업의 온실가스 직접 배출은 5% 증가하겠지만 배출 집약도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 ⑤2030년까지 식량 손실과 음식폐기물을 절반으로 줄이면 농업 온실가스 배출량이 4% 감소하고 영양실조 인구가 1억 5300만 명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⑥국제 농산물 무역 시장의 원활한 작동은 세계 식량 안보에 중요, ⑦향후 10년 동안 주요 농산물의 실질 국제 기준 가격이 약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현지 소매 식품 가격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 합계출산율 OECD 비교(2023년 통계) >
< 농업 생산액 및 생산 증가율 전망 >
- 프랑스의 휴가 비용 지원 제도
- 파리 올림픽 무료 팬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