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정책브리핑
[OECD 정책브리핑]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창의적 사고 평가 및 동남아‧중국‧인도 경제전망
30
2024-06-25
인쇄
공유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OECD대표부 정책브리핑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22 창의적 사고 평가 결과

OECD는 2012년부터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 혁신적 영역(innovative domain) 평가를 추가하였다. 이는 수학, 읽기 및 과학 등 인지 영역 외에 학생들의 다양한 21세기 역량을 평가하여 미래 삶에 대한 준비도를 보다 포괄적으로 전망하기 위한 것이다. OECD는 2022년 PISA에서 처음으로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를 평가하였다. 한국은 OECD 28개국 중 1~3위, 전체 64개 참여국 중 2~4위를 기록하여 싱가폴, 캐나다, 호주와 함께 최상휘 성취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한국은 창의적 사고력 점수의 학교내 및 학교간 차이가 OECD 평균보다 낮고 경제사회문화적 지위(ESC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가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도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에 대한 자아효능감 지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높은 다른 국가들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정부는 창의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학생들이 창의성에 대한 그들의 잠재력을 믿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

◈ 동남아‧중국‧인도 경제전망 2024 (‘24.5월)

OECD는 아시아 신흥국내 견조한 수요, 여행을 비롯한 서비스업 회복세 등이 경제성장을 이끌어갈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제조업이 IT 수요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 조짐을 나타내고 있으며, 외국인 직접투자(FDI) 증가로 국가간 무역관계도 강화될 것으로 보았다. 중국의 경우 지난 3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1을 기록하면서 제조업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올해 성장률을 5% 내외로 예상하였다. 주요 리스크로는 우선 중국의 기업부채가 GDP의 166%(2023.1/4~3/4분기)에 달하는 등 신흥국의 민간부채가 급증한 가운데 고금리로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난 점을 들었다. 또한 중국 부동산 시장 조정 지속은 여타 아시아 신흥국에 어려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OECD는 아시아 신흥국에서 재해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대응이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실례로 동남아‧중국‧인도 지역 연평균 가뭄 건수는 2004~13년 1.9건에서 2014~23년 2.4건으로 증가하였다. OECD는 재해피해 축소를 위해 거버넌스 역량, 예산, 자금조달, 토지 계획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holistic)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PISA 2022 창의적 사고 평가 결과 >

 

 

            < 주요 아시아 신흥국 상품교역 증가율 >

 

 

- 프랑스의 대통령-의회 관계:
     헌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엘리제 궁의 역사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닫기
© 주오이시디대표부의 뉴스레터
이 페이지는 오즈메일러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