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글로벌 부채 보고서 2024
OECD는 지난 3월 ‘글로벌 부채 보고서 2024’(Global Debt Report 2024)를 발간하였다. 동 보고서는 OECD 국가의 총 국채 발행 규모가 ‘22년 12.1조 달러에서 ’23년 14.1조 달러로 증가하였고 ‘24년에는 15.8조 달러에 이르러 ’20년을 넘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 평균 국채 발행 금리는 ‘22년 약 3%에서 ’23년 4%로 1%p 상승하였고 국채 발행 잔액의 약 60%가 ‘22년 이전 수익률 수준으로 쿠폰이 고정되어 있어 향후 더 높은 이자율로 차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였다. 아울러 양적 긴축으로 인한 중앙은행의 채권시장 철수와 가격에 민감한 투자자 확산 등 투자자 기반의 변화를 국채시장의 주요 변화로 제시하였다. OECD는 회사채 발행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은 차입비용 환경하에 지난 20년간 약 2.5배 증가(총 발행 잔액: ’00년 13.6조 달러 → ‘23년 33.6조 달러)했음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투기 등급 회사채 발행이 크게 증가하고 투자 등급 회사채 중에서는 BBB 채권 비중이 높아지는 등 회사채 신용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 OECD 국가 연도별 국채 발행 >
< 주요 중앙은행 국채 보유 >
- 프랑스 건강보험의 역사
- 알렉상드르 3세 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