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정책브리핑
[OECD 정책브리핑] IEA 글로벌 수소 리뷰 2023 주요내용
1
2023-11-21
인쇄
공유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OECD대표부 정책브리핑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IEA 글로벌 수소 리뷰 2023 주요내용

IEA는 올해 9월 발간한 ‘글로벌 수소 리뷰 2023(Global Hydrogen review 2023) 보고서에서 최근 글로벌 수소 활용 및 생산, 투자, 정책 트렌드를 분석하고 수소 에너지 활용을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권고하였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수소 사용량은 2021년 대비 약 3% 증가한 9,500만톤으로 증가하였으나, 저탄소 수소 사용량은 여전히 총 수소 사용량의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IEA는 각국 정부가 저탄소 수소 활용 및 생산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며, 2022년 저탄소 분야 기술개발 투자액도 2021년 대비 2배 늘어난 6억불로 증가하고 있다며 2030년에는 저탄소 수소 생산량이 3,8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다만, 이러한 전망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발표한 정책 및 프로젝트의 신속한 이행, △저탄소 수소 공급 확대 뿐만 아니라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과감한 정책 도입 검토, △청정수소 인증제도 및 이에 대한 국가간 상호인정을 위한 국제협력 확대, △명확하고 안정적인 수소 프로젝트 관련 허가제도 마련을 통한 예측가능성 제고, △수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위험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권고하였다.

◎ 2023년 OECD 인적역량 개관 주요 내용

OECD는 11월 6일 2023년 인적역량 개관(Skills Outlook)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동 보고서는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역량 관련 수요의 변화의 개인의 인식‧태도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동 보고서는 지식이 실제 의미있는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태도와 성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고서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생산직과 농업군 외 직업군의 고용을 증가시킬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한 신체적‧인지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복잡한 정보 환경 하에서 정보처리에 필요한 기본 역량인 읽기, 수학, 과학 등의 숙련도를 높이고 건강 문해력과 언어 역량 및 AI 관련 전문성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2023 OECD 국제이주전망 주요 내용

OECD는 금년 10월 ‘2023년판 OECD 국제이주전망(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23)’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22년 OECD 국가들의 국제이주는 ’21년에 비해 26% 증가한 610만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보였으며, 가족이주가 가장 큰 이주사유이고 노동이주도 증가추세가 이어지고 있었다. 이주민 고용률은 폴란드를 제외한 모든 OECD 국가에서 증가하였는데 OECD는 많은 국가가 노동력 부족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노동이주 증가와 이주민 고용률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하였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는 이주여성의 출산율도 다루었는데,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이주여성 출산율이 본국태생 여성 출산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OECD 2/3 국가에서 이주여성 합계출산율은 대체출산율(여성 1인당 2.1명)보다 낮아 도착국가의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순효과는 낮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ECD는 많은 여성이주민들이 가임기 동안 또는 가족결합을 위해 이주하기 때문에 도착국가의 출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직접 출산하지 않더라도 도착국가의 돌봄 및 가사 노동에 종사할 경우 도착국가 여성의 일·가정 조화 또는 추가적인 출산을 결심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Global hydrogen review 2023

< 수소 생산량 및 지역별 청정에너지
R&D 투자액 중 수소관련 투자액 비중 >

- 프랑스 다국적 기업들

- 프랑스 화장품의 역사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경제, 사회, 환경, 교육 등의 현안에 관한 OECD 논의동향 및 정보를 담아 'OECD정책브리핑'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동 OECD정책브리핑을 매주 이메일로 송부드리고자 하며, 이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하단의 '수신거부'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닫기
© 주오이시디대표부의 뉴스레터
이 페이지는 오즈메일러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