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글로벌 참여,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역량을 높이는 학교 교육
OECD는 4월 개최한 세계교직정상회의(ISTP, International Summit on the Teaching Profession)를 계기로 지난 5월 ‘미래를 위한 교육(Teaching for the Future–Global Engagement, Sustainability and Digital Skills)’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동 보고서는 첫째, 교직의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급여뿐 아니라 교직 전문성과 사회적 인정 등을 통한 자기효능감과 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둘째, 글로벌 참여와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에게 사고의 자율성과 글로벌 이슈와 다문화에 대한 포용성을 길러 주어야 하며, 이는 학교 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셋째, 디지털화는 지식에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돕고 교수학습의 혁신을 촉진하며,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회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에 교사의 디지털 이해도를 높이고 협업 기반 교육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학생들이 디지털 기기를 잘 활용하도록 미디어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추고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OECD 교통분야 논의 동향 및 시사점
OECD 국제교통포럼(ITF)은 지난 5월 24일부터 26일까지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글로벌 교통 분야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교통 분야 최대 행사인 교통장관회의(Ministerial Summit)를 개최하였다. 30여 개국 교통 장차관이 참석한 금번 교통장관회의(MS)에서는 ‘지속가능한 경제를 가능하게 하는 교통(Transport Enabling Sustainable Economy)'을 주제로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공급망 회복 등을 논의하였다. 우리나라는 개회식 및 패널 토론에서 지속 가능한 경제, 포용력 있는 성장에서 교통 분야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발언하는 한편, 앞서가는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모빌리티 분야 혁신에 노력하고 있는 사례를 언급하며, 이것이 지속가능하고 포용력 있는 경제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등 新 모빌리티 정책을 소개하였다...
◎ 새로운 형태의 책임성을 향한 논의 동향
정부 정책과 서비스 개발에서 인공지능(AI) 채택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편향성 제거와 데이터 윤리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해지고 있다. 관련하여 OECD는 정부의 투명성과 시민 신뢰 강화를 위해 실용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AI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소개하였다. 알고리즘 책임성은 알고리즘의 영향을 이해하고 책임질 수 있는 보장을 의미한다. 특히 공공 부문에서는 AI 도입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주의해야 하나, 공공 부문에서의 알고리즘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OECD에서는 법률 및 규제 프레임워크 측면에서 알고리즘 사용의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 규정의 해석, 독립적인 감독기구 설치, 공공 알고리즘 사용에 대한 감사 논의 등이 진행 중이며, ‘데이터 거버넌스’는 알고리즘 코드와 위험 관리 프로세스와 함께 기초 데이터의 무결성과 적절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2023년 4월 OECD 회원국 물가 동향
Teaching for the Future: Global Engagement, Sustainability and Digital Skills
Global Trends in Government Innovation 2023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교사의 인식도>
- 프랑스 무직 고령자 비율 증가
- 프랑스 당구의 역사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경제, 사회, 환경, 교육 등의 현안에 관한 OECD 논의동향 및 정보를 담아 'OECD정책브리핑'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동 OECD정책브리핑을 매주 이메일로 송부드리고자 하며, 이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하단의 '수신거부'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