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http://www.facebook.com/oecdkorea
우리 대표부에서는 OECD 정책브리핑을 통해 매주 OECD의 최신 논의동향을 알려 드리고 있습니다. 기사나 보고서 등에 이 내용을 인용하시는 경우, 출처(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 IEA 2023 석유보고서(Oil 2023) 주요 내용
IEA는 중기 국제 석유 수급 전망을 담은 2023 석유보고서(Oil 2023)를 발표하고 세계 원유 수요 증가세가 5년 내에 크게 둔화되고 2030년 이전에 원유 수요가 정점(peak)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각국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 전기 자동차의 보급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써, IEA는 2028년 세계 원유 수요가 약 1억 570만 배럴/일로 2022년 대비 6% 증가할 것이나 연간 증가분은 2023년 약 240만 배럴/일에서 2028년 약 40만 배럴/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IEA는 2028년 세계 석유 공급 능력이 2022년 대비 약 590만 배럴/일 증가한 약 1억 1100만 배럴/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이러한 공급 능력 증가는 OPEC+가 아닌 미국과 브라질, 가이아나 등 남미 국가가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와 같은 중기 석유 수요 및 공급 예측치를 기반으로 IEA는 2028년까지 석유 공급이 예상 석유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향후 글로벌 경제 상황, OPEC+의 석유 공급 관련 결정, 중국의 정유산업 관련 정책 등이 중기 세계 석유 수급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 순환경제촉진을 위한 무역정책(리튬이온배터리 사례연구)
OECD는 2023년 1월 『순환경제촉진을 위한 무역정책: 리튬이온배터리 사례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폐리튬이온배터리의 국가간 이동현황을 분석하고, 각국간 재활용 인프라 격차 등으로 폐배터리의 국제거래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폐배터리의 원활한 국가간 이동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폐배터리의 위상 명확화(폐기물 규정 등), △폐배터리의 운송 및 보관을 위한 안전규정의 일관성 제고, △무역 활성화를 위한 리튬이온배터리 제품설계 기준의 표준화,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폐배터리 수거 및 재활용율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OECD는 탄소중립 이행 본격화 및 전기차 확산에 따라 폐배터리의 친환경적 재활용 관련 논의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개도국 지속가능개발금융 확대의 제약 요인 및 해소 방안
개도국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경제성장 저하, 재정대응 여력 감소, 부채 리스크 증가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개도국의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OECD는 최근 보고서에서, 개도국의 지속가능개발금융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ESG 등 비재무적 역량 부족, 비재무적 데이터 제공ㆍ모니터링ㆍ영향 평가 기술 부족 및 국제 투자자 유인이 어려운 개도국 금융시장 수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 보고서는 제약 요인 해소를 위해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는 공동 행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단기적으로는 개도국 금융 전략에 적합한 금융 지원, 개도국 역량 개발 등 개도국이 지속가능개발금융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Oil 2023: Analysis and forecast to 2028
< 세계 석유 수요 전망 2022-2028 >
- 프랑스 비만 인구 증가
- 1944년 8월, 파리의 해방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경제, 사회, 환경, 교육 등의 현안에 관한 OECD 논의동향 및 정보를 담아 'OECD정책브리핑'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동 OECD정책브리핑을 매주 이메일로 송부드리고자 하며, 이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하단의 '수신거부'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